담임목사 칼럼

  • 홈 >
  • 커뮤니티 >
  • 담임목사 칼럼
담임목사 칼럼
삼시 세끼 먹는 게 몸의 창조 원리에 맞다 최철광 2020-01-05
  • 추천 0
  • 댓글 0
  • 조회 406

http://dongseoro.org/bbs/bbsView/65/5672921

삼시 세끼 먹는 몸의 창조 원리에 맞다

 

세계의 많은 사람이 약속이나 한 것처럼 하루 세 끼를 먹어 왔다. 이는 우연이나 약속으로 된 일이 아니다. 사람의 몸은 매일 세 끼를 먹게 돼 있다. 지금 시대가 먹을 것이 풍족하다 보니 너무 많이 먹어 탈이 난다고 한다.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린 말이다. 먹을 것이 풍족한데 영양 결핍이나 영양 불균형 속에 있는 사람들이 주변에 차고 넘친다.

 

살을 빼기 위해 다이어트를 하면서 굶는 것을 밥 먹듯이 한다면, 이로 인해 필수 영양분을 고르게 섭취하지 못하고 놓치게 된다. 결국, 몸매는 좋지만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이 늘어나게 됐다. 그렇게 하면 젊을 때 가졌어야 할 기본 체력이 쉽게 바닥나 버린다. 문제는 다이어트를 하면서 먹는 것을 절제하면 우리 몸에서는 비만을 일으키는 DNA가 작동한다는 사실이다. 당대에 발생하지 않더라도, 자식들 세대로 전이될 수 있다. 물만 먹어도 살이 찌는 체질로 변화될 수 있다.

 

암 환자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을 보면 암 자체보다는 제대로 먹지 못해 기력을 다하는 경우가 많다. 못 먹어서 면역이 악화되고 암과 싸울 힘을 내지 못하는 것이다. 현대에는 못 먹거나 잘 먹어서 생긴 병이 아니라 제대로 먹지 못해서 생긴 질병이다. 사람의 몸은 식사한 뒤 6시간 동안 소화와 흡수를 마무리한다. 아침 점심 저녁, 이렇게 세 번 먹는 것이 우리 몸의 구조와 일치한다. 만일 먹기를 멈추면 몸 안에서는 자기 살과 피를 흡수한다. 그렇게 되면 살은 빠질지 모르지만, 영양과 에너지를 빼앗겨 몸의 균형을 잃게 된다.

 

하나님은 우리 몸 안에 생체 시계를 만들어 뒀다. 먹어야 할 때 배고픔을 느끼게 만드셨다. 건강한 사람은 하루 세 번 배고픔을 느끼게 돼 있다. 하나님은 우리 몸을 딱 세끼만 잘 먹어야 건강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끼니가 아닌데도 먹거나 편식하고 몰아서 먹으면 세끼의 습관을 상실했다.

요즘 우리나라 사람들이 고기를 줄이고 채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런 편식은 당장은 좋을지 몰라도 지혜로운 선택이 아니다. 주식이 쌀인 나라에서 고기를 먹어봐야 얼마나 먹을 수 있을까. 기껏 하루 한 번 먹는 게 전부다. 고기는 고기대로 우리가 섭취해야 할 영양이 있고 채소는 채소대로 영양이 있다. 고기나 채소, 생선 모두 다양하게 먹고 몸이 원하는 수많은 영양분을 섭취해야 건강하게 살 수 있다.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먹으면서 매일 세끼 먹는 걸 일상화한다면 건강하게 살 수밖에 없다.

이글은 선한목자 병원 원장 이창우 박사가 국민일보에 게재한 글이다. 사람의 몸이 삼시 세끼 먹어야 건강하다면, 우리의 마음과 정신은 하나님의 말씀을 주기적으로 먹어야 건강해 진다. 새해에는 음식으로, 말씀으로 건강한 한 해를 보냈으면 한다.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가정 교회 성장의 비결은 목녀의 헌신이다 최철광 2020.01.05 0 420
다음글 우리가 사모해야 하는 능력 최철광 2019.12.08 0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