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임목사 칼럼

  • 홈 >
  • 커뮤니티 >
  • 담임목사 칼럼
담임목사 칼럼
우리가 사모해야 하는 능력 최철광 2019-12-08
  • 추천 0
  • 댓글 0
  • 조회 395

http://dongseoro.org/bbs/bbsView/65/5661579

우리가 사모해야 하는 능력

 

우리는 능력을 사모하며, 능력 있는 삶을 살고 싶어 한다. 보통 능력하면 기도나 병고침의 능력 혹은 방언이나 예언과 같은 능력을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것은 일상생활과는 거리가 있는 능력이다.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능력은 일상생활에 적용할 있는 능력이다.

 

번째는 용납의 능력이다의외로 많은 사람이 과거의 좋지 않은 기억에 사로잡혀 분노와 열등감을 가지고 살아간다. 과거의 상처에 대한 분노나 그로 인한 열등감은 일상생활을 많은 부분에서 어려움을 준다. 아무것도 아닌 상대방의 말을 오해하거나 자기방어적인 자세로 일관함으로 관계에 어려움을 있다. 과거의 사건은 잊을 수는 없지만, 용납할 수는 있다. 우리에게 필요한 능력은 용납의 능력이다.

 

번째 인내의 능력입니다그리스도인이 신앙으로 성숙하지 못하는 이유는 인내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문제가 생기면 우리는 쉽게 포기해 버린다. 직장에서도 조그만한 문제가 생기면 인내하기 보다 사표를 낸다. 어떤 일이든 4-5 정도를 해야 노하우가 생기는데, 전에 그만두기 때문에 자신만의 노하우를 갖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목장 생활이나 교회 생활에도 적용된다. 목장이나 교회가 항상 좋을 수는 없다. 공동체는 인내를 연습하고 인내의 능력을 키우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번째 중요한 능력은 관계의 능력입니다관계는 삶의 질을 결정한다. 부부 관계나 자녀와의 관계는 가정의 행복을 결정하고,. 직장 동료나 상사와의 관계는 직장 생활의 행복을 결정하며, 목장 식구와의 관계는 목장 생활의 행복을 결정한다. 관계에서 성공하면 환경과 관계없이 행복할 있지만, 아무리 좋은 환경도 관계에서 실패하면 싫어지게 된다. 관계의 훈련은 섬김과 순종을 통하여 온다. 섬김과 순종이 습관이 , 관계는 자연스럽게 형성이 된다.  

 

마지막으로 회복 탄력성의 능력을 갖춰야 한다. 회복 탄력성이란 원상태로 복원되는 힘을 말한다. 스프링을 누른 후에 놓으면 원위치로 돌아가는 것처럼, 회목 탄력성의 능력이 있는 사람은  실패를 경험해도 주저앉지 않고 일어설 있다. 성공은 실패를 통하여 얻어진다. 실패를 통한 성공은 회복 탄력성의 능력을 갖춘 사람에게 주어지는 상급이다.

 

사랑하는 성도들이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있는 능력을 기르는 초점을 두어 세상에서 능력 있는 삶을 바란다.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삼시 세끼 먹는 게 몸의 창조 원리에 맞다 최철광 2020.01.05 0 405
다음글 하나가 바뀌었는데 최철광 2019.12.01 0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