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장 전도를 어떻게 할 것인가? (4) | 최철광 | 2025-07-06 | |||
|
|||||
목장 전도를 어떻게 할 것인가? (4)
목장 전도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기본 작업을 해야 합니다.
먼저 쓴 뿌리 기대감을 버려야 합니다.
목자들은 우리 목장 식구들은 안되,
5명의
vip 명단을 제출하지 않을 거야 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오히려 기도하고 격려하면
5명의
vip명단을 제출할 수 있어,
그리고
vip를 위해 기도하면 반드시 올 것이야 라고 말을 해야 합니다.
말에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쓴 뿌리 기대감이 아닌 창조적인 기대감을 가져야 합니다.
씨를 뿌리면 반드시 거둔다.
전도하면
vip는 반드시 온다는 믿음의 기대감을 가져야 합니다. 쓴 뿌리 기대감을 버렸다면,
이제는 전도 시뮬레이션을 해 보아야 합니다.
목장에서 빈 의자나 방석을 놓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자리는
vip 자리로 지정해야 합니다.
그 자리에
vip 가 와서 앉을 것을 기대하면서 기도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vip가 왔다고 생각하면서,
목원들과 역할을 나눠 맡은 일을 해 보아야 합니다.
Vip를 위한 카드를 쓰는 일도 한 방법일 것입니다.
이때 구체적으로 간증 카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수 믿고 불면증이 없어졌다 혹은 삶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는 등 구체적으로 간증해야 합니다.
그리고 한 사람은 꽃을 준비하고,
다른 한 사람을 프랭 카드를 준비하는 것 등 역할을 나누어서 예행 연습을 해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믿음으로 상상하면서 기도해야 합니다.
Vip를 위해 기도할 때,
그 사람이 목장에 참석하여 함께 하는 모습을 상상하면서 기도해야 합니다.
상상하면서 기도하는 것은 우리에게 긍정적인 힘을 제공합니다.
실제 전도를 하거나 목장으로 초청을 해도 열매가 없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실망하고 좌절합니다.
이때 상상하면서 기도하면 힘이 생깁니다.
믿음의 기도는 역사하는 힘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믿음을 통하여 역사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믿음으로 싱싱하면서 기도해야 합니다. 그리고 실제 전도 초청 잔치를 해야 합니다.
인디언들은 비가 오지 않으면 기우제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인디언들이 기우제를 하면 반드시 비가 온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인디언들은 비가 올때까지 기우제를 하기 때문입니다.
1년이고
2년이고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를 드린답니다.
그러니 비가 올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인디언들은 기우제를 하면 비가 온다는 믿음을 가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목장에서 1달에 한 번,
2 달에 한 번,
혹은
3달에 한 번 정하여 목장 전도 잔치를 가지는 것입니다.
그때 목원들이 음식을 한 가지씩 가지고 옵니다.
그리고
vip들에게 목장으로 초청을 합니다.
처음에는 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 음식은 각자 집으로 가지고 가면 됩니다.
오지 않는다 할지라도 계속 초청 잔치를 하다 보면 주님께서
vip를 보내주십니다.
안 오면 올때까지 전도 초청 잔치를 계속해야 합니다.
그러면 하나님은 반드시
vip를 목장에 보내 주실 것입니다.
|
댓글 0